이번 장에서는 사용자 트래픽을 여러 데이터센터에 조절해서 전달하는 로드밸런싱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모든 일을 힘으로만 해결할 수는 없는 법 현실적으로 절대 장애가 일어나지 않는 네트워크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장애가 최대한 적게 나도록 구조를 개선해야 하는데 로드밸런싱이 큰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서 특정 요청을 어느 데이터센터에 얼마나 많은 서버들이 처리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트래픽 로드밸런싱을 도입하기도 한다. 요청의 종류는 다양하겠지만 검색, 비디오 요청은 아래와 같은 처리가 필요하다. 검색 요청: 요청에 대한 지연응답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라운드트립 타임(round-trip time, RTT)을 측정해서 가장 가까운 데이터센터로 보내야 한다. 비디오 요청: 지연응답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