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장은 대부분 구글에서 시계열 모니터링을 어떻게 수행하고 있는지 알려주고 있다. 물론 도움이 되는 내용도 있었지만 보그몬의 탄생, 예시로 든 애플리케이션의 조작, 내보낸 데이터의 수집 등 대부분의 내용은 현업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따라서, 구글에서 어떻게 수행하고 있는지 자세하게 알기 위해서는 책을 읽어보는 것이 좋을 것 같고 블로그에는 현업에 적용이 가능한 개념을 작성하고자 한다. 1. 알림 제품을 구성하는 계층의 가장 밑바닥에 깔려있는 모니터링은 안정적인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기본 구성 요소다. 서비스 담당자가 서비스의 변경에 따른 영향을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장애가 발생했을 때는 과학적인 방법으로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서비스가 비즈니스 목표에 맞게 운..